반응형
시도별 미분양 현황
22.11월 기준 총 5.8만호

22.11월 기준으로 집계자료를 보면,
수도권 미분양 10,373호 , 지방 미분양 47,654호로
총 58,027호의 미분양 현황을 보이고 있다.
주목할 점은 세종을 제외하고는 전지역에서 전년, 전월 대비 큰 증가를 했다는 점이다.

규모별 미분양 현황을 살펴보면, 전년대비 85㎡ 초과 부분에서 가장 큰 증가폭을 가져왔고, 작은 평수로 갈수록 증감이 적어지는 것으로 보인다.
반대로 말하면 소형평수에 대한 공급이 줄어들었다고 생각해도 될 거 같다.
특히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
준공 후 미분양은 총 7,110호로 나타나고 있다.
서울도 약 209호가 있는데, 이중 강북구에 162호가 대다수 차지하고 있다.

주택 건설 인허가실적(아파트)를 살펴보면,

전년 대비 수도권, 지방 모두 인허가 물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보여지고 있다.
반대로 총 주택수치의 경우는 증가하는 지역도 많이 있었다.
올해에도 원자재, 인건비, PF 대출 등의 요소로, 인허가 실적이 감소할 여지가 많다.
그렇다면, 어디에 투자해야 할지 찾아보기를...
더 많은 내용은 https://blog.naver.com/huefree 참조하세요^^
반응형
'투자 > 부동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일시적 2주택자의 종전주택 처분기한 연장 2년→ 3년 (0) | 2023.01.12 |
---|---|
특례 보금자리론 (한도 5억, DSR 안봄) (0) | 2023.01.12 |
2023년 부동산 시장 정상화 방안 정리자료 (0) | 2023.01.04 |
1주택자 기존주택 처분 서약 제도 폐지 소급 적용 예정 (0) | 2023.01.04 |
균형발전을 위한 지역균형발전 포럼 발족 (0) | 2023.01.04 |
댓글